Economics
-
Winners and losers from recent asset price changesEconomics/Papers 2023. 10. 6. 22:23
Winner와 Loser 에 대한 논문을 채권시장에서 다루다니 ! (우리가 아는 winner / loser 랑 다르다...) + 코호트 분석 그림이 너무 예쁘다 ! 제목 : Winners and losers from recent asset price changes 저자 : Edmund Crawley and William Gamber (2023) FRED 최근 Asset prices와 이자율이 지난 2년간 매우매우 빠르고,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바뀌었다. 아마 이는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잡히기) 정책 금리를 올리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다. 자산가격의 변동을 wealth 의 관점에서의 “redistributive 효과”와 “wealth 효과”의 비교해서 볼 수 있다. [0. 자산 가격과 거시..
-
Closed-End Fund puzzle : A Survey ReviewEconomics/Papers 2023. 9. 30. 19:31
이런 퍼즐이 왜 중요하지? 실제 금융 시장에서도 중요한 문제일 지도 모르지만, 학계에서는 기존에 쌓아두었던 것들을 다듬고, 정리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기존의 도구와 이론으로 새로운 것을 설명하거나 기존에 풀지 못했던 문제들을 풀어 나가는 것이 지금의 중요한 문제니까 ! 사람들의 비이성적 행동이 어떻게 금융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데이터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많고 풀어야할 puzzle들이 많다. 어떠한 1) 새로운 데이터로 혹은 2) 새로운 방법론을 사용해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야 할지 흐름을 잡는데 도움이 되는 meta 자료이다. [0. Closed-end fund란?] 다른 공개적으로 거래되는 유가증권 (security)을 보유 (holds)하거나 묶어둔(bunddles) 투자 회사 (in..
-
Noise trader risk in the financial market 1Economics/Papers 2023. 9. 26. 20:39
현실과 모형이 맞지 않네? 이러한 질문 속에서 새롭게 noise trader를 제시하며, 그들의 존재를 기반으로 연구의 방향성을 열어준 첫 논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쉽고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나는 합리적이고 똑똑하지만, 너가 멍청하다는 걸 알고, 너가 멍청하게 선택해서 결과를 망칠 수도 있기에 그것까지 고려해서 내가 한 행동 때문에, 결국 멍청한 결과가 나온다는 말… 제목 : Noise trader risk in the financial markets 저자 : De Long, Shelifer, Summers, Waldmann 저널 : JPE [아이디어 개요] OLG 모형을 이용해서, erroneous stochastic belief를 가지는 비합리적인 noise trader가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높은..
-
Does Arbitrage flatten demand curves for stocks? 2Economics/Papers 2023. 9. 24. 20:47
수요 탄력성과 차익 거래 위험 (arbitrage risk) 를 어떻게 엮어서 설명할까!? 기본적으로 새롭게 구성한 측정치를 보여주고, 이 측정치로 무엇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에 대한 틀은 크게 바뀌지 않는다. Does Arbitrage flatten demand curves for stocks? (2014) 저자 : Jeffrey Wurgler, Zhuravskaya 저널 : JFE 이 논문에서는, 초과 수요 충격 (excess demand shock)에 따른 가격이, 실제로 (1) 충격의 크기 (size of shock)와 주식의 (2) 차익거래 위험 (abitrage risk)에 따라서 증가하게 된다는 것을 데이터로 보여준다. (검증) “S&P 500 지수에 추가가 된 주식” 가격의 반응을 cros..
-
Does Arbitrage flatten demand curves for stocks? 1Economics/Papers 2023. 9. 23. 13:29
그래, 마음 속에는 arbitrage가 일단 존재한다고 믿어야 하는 거지? 이 논문에서는, 완전 대체재 (perfect substitute)가 있다면, 결국 차익 거래 기회(arbitrage)에 의해서 수요 곡선 (demand curve)이 평평 (flat)해질 것이라는 기존의 ”이론”에 대해 반문을 던진다. 그렇지 않은 이유와 원인에 대해서 arbitrage limit 이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그 measure로써 arbitrague risk 를 이용해서 설명을 한다. Does Arbitrage flatten demand curves for stocks? (2014) 저자 : Jeffrey Wurgler, Zhuravskaya 저널 : JFE (기존의 Aribitrage 이론) Sholes의 arb..
-
Do Demand Curves for stocks slope down?Economics/Papers 2023. 9. 21. 22:35
! 딱 세개의 식이면 되었다 ! 효율적 시장이 맞아? 어느 가정부터 틀린 거지? 그래서 틀린걸 어디서부터 어떻게 증명하냐고. 아니면 어떻게 더 잘 설명할 수 있지.. 에 대한 질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은 이 모든 것을 갖추고 있는 논문이기도 하다. Do Demand Curves for stocks slope down? 저자 : Andrei Shleifer 저널 : JFE (1987) 새롭게 좋은 정보가 포함이 되지 않고, 수익률이 늘어날 때, 가격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서 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 지를 본다. 만약에 정보가 없이 수요가 늘어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라면, demand curve가 flat 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때 중요한 것은 (2) “정보가 없다”는 상황을 만들어 낼 수 ..
-
Credit, capital and crises: a GDP-at-Risk approach 2Economics/Papers 2023. 9. 20. 18:56
제목 : Credit, capital and crises: a GDP-at-Risk approach (2019) 저자 : David Aikman, Jonathan Bridges, Sinem Hacioglu Hoke, Cian O’Neill and Akash Raja 저널 : Bank of England 앞서 이론적인 근거와 메커니즘에 대한 가정을 보여주었다면, 그 메커니즘을 여러가지 방식으로 그려서 맞다는 것을 검증해 나간다. 어떤 방법론으로, 무엇을 설명해서 보려고 했는지 잘 살펴보자. [결과 분석] (0. 취약성 지표와 GDP-at-Risk 간의 관계) GDP 성장의 5분위수에 해당하는 GDP-at-Risk 취약성 지표에 대한 1 표준편차의 혁신에 따라 GDP-at-Risk의 추정 변화를 다양한 예측..
-
Credit, capital and crises: a GDP-at-Risk approachEconomics/Papers 2023. 9. 19. 22:35
Quantile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중장기적으로 성장에 대한 하향 리스크, GDP-at-Risk,가 거시적 안정성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하나하나 뜯어나간다. 제목 : Credit, capital and crises: a GDP-at-Risk approach (2019) 저자 : David Aikman, Jonathan Bridges, Sinem Hacioglu Hoke, Cian O’Neill and Akash Raja 저널 : Bank of England 우선, 여러 가지 취약성 지표가 GDP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2) 초점은 GDP 분포의 꼬리인 GDP-at-risk와 그 중기적인 (3-5년 전망) 결정 요인을 살펴보고, 3) 금융 시스템의 탄력성 부족이 경제 성장의 하락 위험과 연결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