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ics
-
Caliendo-Parro model - GVC modelingEconomics/Papers 2023. 9. 18. 22:51
⚠️ 파라미터 주의 ⚠️ 왜 Dynamic을 못 다루는가? Static만 봐도, 그것도 가장 standard모형만 봐도 혼란스럽다. 앞에서 다룬 GVC의 거시적 접근을 기반으로 이론적 모델링을 다음과 같이 한다. 가장 기본이 되는 원형 모형은 Caliendo-Parro 모형이다. Caliendo-Parro model (Roundabout; 원형 모형) [이론 모형] (Enviornment) $J$개의 국가 $S$개의 산업 생산자: 모든 산업에서 생산자들이 competitive하게 행동하며, 모든 산업은 constant return to scale (CRS) 경쟁적 시장 생산요소: 국가별로 노동 공급이 이루어지며, 모든 산업은 constant return to scale을 가짐 (Preferences an..
-
Macro Approach : Global Value Chain 2Economics/Papers 2023. 9. 17. 18:59
데이터가 없으니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최대한 쪼개고, 이어 붙인다. 데이터가 명확한 세계로 가고 싶다. ㅠ.ㅠ 핵심 : 무엇을 설명할 것인지에 따라서 보고자 하는 데이터를 잘 조합해야 한다. 여기서는, upstreamness, downstreamness을 통해 내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보여주는데 그 방법으로 단계별로 숫자를 부여하는 것을 택한다. (숫자 weighting. 나의 무게는 어디에 쏠려 있는가, 공간 duration인가) (3. 데이터 및 여러 측도) 데이터는 2013년에 발표된 world input-output 데이터베이스(WIOD)에서 가져온 것이며, 이 데이터는 1995년부터 2011년까지 35개 산업 및 41개 국가에 대한 연간 관측치를 제공 국제 무역 흐름에서 GVC 활동의 보편성..
-
Macro Approach : Global Value Chain 1Economics/Papers 2023. 9. 16. 21:11
최근 GVCs와 관련해서, 생산 패턴에 대해서 다루는 연구들을 정리한 meta? 자료를 살펴보았다. 진짜 복잡하고 토할 것 같다. 변수나 파라미터들이 대체 몇개인 거야..? GVCs를 나타내는 다양한 “잠재적인 방식들”을 1) 거시적 , 2) 미시적 접근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이번에는 거시적인 접근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저자 : Pol Antràsa and Davin Chord 제목 : GVC (Global Value Chain) GVC 분석 접근법 1) 거시적인 접근 (Macro Approach) World Input-Output Tables 를 이용해서, 세게 경제에서 글로벌 production sharing 의 중요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설명 - industry-level,..
-
Growth at Risk From Climate ChangeEconomics/Papers 2023. 9. 15. 21:44
관심을 ‘가져야 할’ 주제인 ‘climate change’ 관점에서 나의 관심 주제인 growht at risk를 살펴보고자 한다. 인류를 초월한 행성의 경제학..! 🪐 다만, 이번 페이퍼 목적은 climate 보다는, 아이디어와 방법론에 조금 더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어떤 데이터로 growht at risk를 어떻게 살펴볼 것인지, 내가 원하는 주제로 호환해서 생각해 보고자 했고,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살펴보아도 robustness 한지 보여주는 방법에 대한 중요성도 다시 잡아보고자 했다는 점이다. “왜 평균이 아닌, 위험의 분포를 보지?” 이거는 내가 가지고 있는 연구 주제인 credit cycle과도 연결을 지을 수 있다. 중심적인 영향이 아니고, 경제 활동의 ‘변동’성이나 ‘하향 위험’이 “잠..
-
Valuation Formulas (Pricing) and Equilibrium 2Economics/Papers 2023. 9. 14. 23:15
균형 모형 및 가치평가범함수 Reference : 최병선 Introduction to Financial Engineering 이 흐름은 금융 경제학을 공부하려면 꼭 알아야 할 기본적인 framework이다. 산발적으로 발전해 온 논문들을 너무 잘 정리를 해두어서 한번 머리속에 틀을 잡으면 그다음 논문 읽을 때에는 살을 덧붙이면서 읽으면 좋을 것 같다. [모형의 경제 Enviornemnt] 이 경제에서는 소비자가 기대효용을 최대화 하고자 하며, 시장에서 교환을 통해 소비재 / 금융상품의 양을 조절하고, 최적의 소비를 실현하는 경제이며, 가장 기본적인 2기간 모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계 주체) 시장에 참여하는 각 개인은 투자자이자 소비자이며, M명의 소비자가 있고, $m(\in\{1,2, \cdot..
-
Valuation Formulas (Pricing) and Equilibrium 1Economics/Papers 2023. 9. 13. 21:33
균형 모형 및 가치평가범함수 Reference : 최병선 Introduction to Financial Engineering 이 흐름은 금융 경제학을 공부하려면 꼭 알아야 할 기본적인 framework이다. 산발적으로 발전해 온 논문들을 너무 잘 정리를 해두어서 한번 머리속에 틀을 잡으면 그다음 논문 읽을 때에는 살을 덧붙이면서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일반균형이론 (General Equilibrium Theory ; Walrasian general equilibrium) 개별 시장의 현상들을 다루기보다는, 전체 거시경제 (macroeconomy의)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면서 작동하는 지를 설명한다. 일반 균형은 공급(supply)과 수요(demand)가 상호작용 (interact)하고, 동시에 여러 시장이..
-
Interest Rates under Falling Stars 1Economics/Papers 2023. 9. 11. 20:54
Falling star라니 ! 기존의 수익률 곡선을 다룰 때에는 거시적인 fundamental 들은 잘 다루지 않았고, 이론 분석과 실증 분석 모두 거시 fundamental를 봐야하는 것에 대해서 뚜렷한 consensus가 형성이 되어있지는 않았다. 그 이유를 조금 뜯어보면, 각자의 영역에서 충실하느라, 이를 ’연결’시키는 것에 대해서 간과해 왔기 때문이다. (거시-금융 (Macro-Finance) 분야는 경제 여러 분야 중 가장 발전이 더딘 두 분야라고..) 그러다가 거시-금융을 연결시켜서 설명하는 모형이나 실증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 모두 각자의 분야에서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럴 거면 미리 하지) 제목 : Interest Rates under Falling Stars 저자 : M..
-
Pricing theoryEconomics/Method 2023. 9. 10. 19:05
pricing 관련 논문들을 읽으려고 이론적인 틀을 정리해 보았다 ! 0. 금융 경제학 금융 경제학은 자산 가격과 경제의 변동 사이의 연결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금융 경제학을 다루는 기본 개념과 도구를 우선 살펴보고, 핵심 이론, 확장되는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서 다루어 보고자 한다. 금융 경제학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과 도구에는 (1) Arrow-Debreu State Prices (2) 확률적 할인 요인 (Stochastic Discount Factors; SDF) (3) 위험 중립 확률 (Risk-Neutral Probabilities) (4) 확산 (Diffusions) (5) 해밀턴-자코비-벨만 방정식 (HJB equations) 핵심 이론 (core theory)에는 (1) 포트폴리오 선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