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ics/Papers
-
The Facts of Economic Growth 2Economics/Papers 2023. 9. 9. 01:55
앞에서 경제성장 이론이 던지는 2가지 질문 중 첫번째가, '왜 더 잘 사는 나라들은 100년 전보다 더 잘 살게 되었는지?'였다. 즉 이에 대한 답변으로 프론티어(“frontier”) 의 성장과 관련된 사실 (부유한 국가들이 어떤 성장 패턴을 보이는지)들을 보여줄 수 있다. 제목 : The Facts of Economic Growth 저자 : C.I.Jones 출처 : Stanford, NBER Neoclassical growth framework - Solow (1957), Ramsey (1928) / Cass (1965) / Koopmans (1965) Endogenous framework - Romer (1990) (Idea) / Restuccia and Vandenbroucke (2013 (edu..
-
The Facts of Economic Growth 1Economics/Papers 2023. 9. 8. 09:28
Economic Growth.. 정신없는 Business Cycle 과는 달리 어쩐지 힐링이 된다.… 과학철학 책 읽는 느낌이랄까..?! 경제 성장과 관련해서, 앞에서도 다룬 적 있었던 것처럼 최근의 de-centralized 된 상황이나 무역 역행과 관련한 문제들도 매우 중요하게 다뤄볼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왜냐하면, 특히 1970년-1989년 사이의 기간 동안 ‘개방(open)’된 국가들이 ‘폐쇄 (closed)’된 국가들보다 훨씬 빨리 성장을 한 전례가 있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가 여기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국가들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이 어떻게 이루어 졌으며, 현 상황에서의 이런 무역 역행 현상들이 어떤 미래를 가져올지 그려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다른 한편으로, 최근..
-
QFAVAR ! Monitoring multicountry macroeconomic risk 2Economics/Papers 2023. 9. 6. 21:00
앞의 부분에 이어서, 이번에는 분석 결과를 보여주고자 한다. 제목 : Monitoring multicountry macroeconomic risk 저자 : Dimitris Korobilis and Maximilian Schroder 저널 : European Central Bank [QFAVAR 모형 분석] 충격에 대한 반응 함수 (IRF)는 (1) 글로벌 인플레이션, (2) 글로벌 공급망 압력 지수, (3) FCI, (4) 글로벌 경제 정책 불확실성의 충격 (변화)에 대한 함수라고 할 수 있다. 모델의 ‘요인’은 관측되지 않으며, 다국가 (9개국) 분석의 경우 지표들을 평균화하고, '추정'된 indicator-factor는 유럽 지표의 대리 지표 (proxy)라고 본다. HICP (인플레이션), IP (..
-
QFAVAR ! Monitoring multicountry macroeconomic risk 1Economics/Papers 2023. 9. 5. 20:03
FAVAR도 복잡한데, 그래서 대체 QFAVAR 너는 몇 차원에서 놀고 있는 거니..? ㅎㅎ 왜 VAR이 아닌 FAVAR 인지, 왜 FAVAR가 아닌 QFAVAR를 사용하는지 역으로 질문하다 보면, 이 모형의 두 가지 장점을 확인할 수 있다. 1. Country-level에 따른 충격 반응을 살펴볼 수 있고, 2. 각 개별 요인의 quantile을 표현할 수 있고, 3. 이에 따른 두 분위수의 connection이 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경제에 드러나는지 살펴본다고 생각하면 된다. 또 추정 방법론은 베이지안을 활용하는데, 이 시스템이 너무 복잡해서 베이지안 추론을 이용하지 않으면 답이 없기 때문이다. 저자가 코드를 제공하지만, 차마 돌려볼 수 없겠다. 소중한 노트북이 열받아 하니까 ! 제목 : Monit..
-
Priced risk in corporate bonds 2Economics/Papers 2023. 9. 4. 21:05
제목 : Priced risk in corporate bonds 저자 : Alexander Dickerson, Philippe Mueller, Cesare Robotti 저널 :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모형 검정] (0. Summary statistics / Sharpe ratios) (표해석) Panel A는 평균 (Mean), 단일 요인 채권 시장의 알파 (Alpha)와 편향이 조정된 요인의 제곱-샤프비율 (Sh2) 및 표준편차 (SD)를 보여준다. 요인들의 평균은 CRF를 제외하고는 모두 5%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0과 다른 모습을 보인다. DRF와 CRF의 표준편차는 MKTB와 LRF의 거의 두배이며, DEF의 평균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별로 중요하지 않음을 알 수..
-
Priced risk in corporate bonds 1Economics/Papers 2023. 9. 3. 04:00
Pricing 연구에 대해서는 아직 가닥이 잘 잡히지 않아서, 큰 틀을 먼저 잡아보았다. (1) 주식과 (2) 회사채에 대한 연구는 각각의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발전을 해왔는데, 최근에는 자산군 간의 공통 요인 구조를 식별하는 시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1) ‘주식’의 가격결정커널 (pricing kernal)에 대해서 지난 50년 동안 상당한 발전이 있었고, 예상 수익률의 요인구조 (common factor structure)를 “식별”하는 자본자산가격모형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 을 중심축으로 연구가 발전되어 왔다. 다만, CAPM이 맞지 않다는 논문들이 늘어나면서, 예상 주식수익의 횡단면 (cross-section)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가격 요..
-
Overraction in Expectations: Evidence and TheoryEconomics/Papers 2023. 9. 2. 10:14
QJE에서 발간된 최근 논문으로 측정 방법론에 대한 계량 이론 논문이다. 이론은 기술적으로 너무 복잡하고 어려워서 가볍게 훑어만 보았다. 최근에 Expectation나 Subjective 에 관한 Bias 논문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어떤 방법"으로 이런 "편향 (Bias)"을 해결하고 더 정확하게 측정할 것인지에 대해서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아직 실증 분석은 없고 이론 논문인 만큼 실험 설계 방법에 대해서 어떤 근거로 이루어져 있는지 하나하나 따져보면서 실제 적용 가능성을 파악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논문은 특히 예측의 편향에 대해서 다루며, 다양한 환경에서 예측의 편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실험하기 위해서 대규모 무작위 실험 (Randomize..
-
The economic costs of supply chain decouplingEconomics/Papers 2023. 9. 1. 02:37
모형은 자기가 생각하는 세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어떻게 구축하고, 무엇을 설명할 것인지에 따라 모형에서의 경제는 완전히 달리질 수 있다. (논문의 핵심이기도 하고) 따라서 무엇을 설명할 것인지를 따라가고, 그 분석 방법이 타당한지, 데이터는 잘 가져 왔는지 주목해서 읽어야 한다. 그러나 상호작용도 많고, 정치적 영향도 들어가고, 구분 기준도 모호한 국제 경제 논문을 보면 참 복잡하고 모형화 하기도 힘들어 보인다. 오늘 다루는 논문도 위와 비슷한 문제를 겪는데 그것들을 어떻게 해결하는지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주제들이 조금 더 명확해 진다. 또 엄청나게 확장 및 파생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많은데 (경제 충격 → 희소 원자재 가격 / 녹색 부문에서의 지연 및 효과 등) 이 논문은 그런 것들도 향후 과제로 명..